어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봤습니다.
요즘 이슈가 되긴 했지만 제목이 짜쳐서 안 보고 있었는데
친구 놈이 봤냐? 재밌다! 노래 쩐다. 그래서 봤습니다.
결론은 좀 과장하면 "한국 문화의 대전환점이 왔다."입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제목이 진입 장벽입니다.
스토리, 연출, 음악, 캐릭터 등등 나무랄 데가 없더군요.
OST는 출퇴근에 무한 반복으로 틀어 놓습니다.
기존에 여러 한국 문화들은 한국인이 직접 밭 갈고, 씨 뿌리고, 풀 뽑고, 수확해서 팔았다면,
이제는 슬슬 좋은 종자를 팔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이 종자로 스스로 밭 갈고, 씨 뿌리고, 풀 뽑고, 수확하는 것이죠.
지금도 아이돌 노래를 들으면 가사에 영어 후렴구는 다반사입니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 반대로 영어 노래에 한국어가 일부 삽입된 형태의 노래는 신선했습니다.
영어와 한국어를 섞어서 라임을 형성한다니요. 세상에나.
진부하지만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과거 전통 문화부터 현대의 유행까지 한국적인 것을 적절하게 버무려서
나라와 민족을 불문하고 통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너무 엄중하고 무겁게 이야기했지만
이 작품은 가볍게 보아도 오락성이 충분하고
세대와 성별과 취향 불문하고 좋아할 수 있는 요소를 상당히 갖추었습니다.
김구 선생님,
당신이 상상하던 나라가 오고 있습니다.
계속 지켜봐 주십시오.
[1]
96%변태중 | 25/09/01 | 조회 1383 |오늘의유머
[3]
sunggp135 | 25/09/01 | 조회 636 |오늘의유머
[4]
감동브레이커 | 25/09/01 | 조회 918 |오늘의유머
[1]
라이온맨킹 | 25/09/01 | 조회 1293 |오늘의유머
[5]
우가가 | 25/09/01 | 조회 2455 |오늘의유머
[6]
감동브레이커 | 25/09/01 | 조회 2363 |오늘의유머
[6]
89.1㎒ | 25/09/01 | 조회 1831 |오늘의유머
[2]
sunggp135 | 25/09/01 | 조회 883 |오늘의유머
[1]
계룡산곰돌이 | 25/09/01 | 조회 334 |오늘의유머
[8]
파이어골렘 | 25/09/01 | 조회 2592 |오늘의유머
[4]
제로닭가슴살 | 25/09/01 | 조회 1470 |오늘의유머
[4]
호랑이어흥 | 25/09/01 | 조회 1031 |오늘의유머
[5]
감동브레이커 | 25/09/01 | 조회 1136 |오늘의유머
[0]
투데이올데이 | 25/09/01 | 조회 1628 |오늘의유머
[5]
댓글러버 | 25/09/01 | 조회 2508 |오늘의유머
개인적으로는 소니엔터가 만든거라 불호 ㅎㅎ 굳이 한국음식을 일본인 주방장이 만든걸 먹을 필요까지 없다는 생각 ㅎㅎ
음 그 부분은 간과하고 있었는데 아쉬운 부분이군요.
저는 오히려 한국 제작사가 애써 무시하고 있던 것을 알려준 것 같아서 기뻤습니다 우리라면 시도하지 않았던 것. k-pop을 애니메이션 영화로 만든다고? 오글거려서 안 한 것을, '이거 돈이 돼~ 세계인들한테 먹힌다니까?' 라고 알려줬으니 이제 우리 자본으로 다양한 장르의 K-컨텐츠 시도를 할 것 같아요
일본인 한식대가라면 상황이 달라지죠
미국인이 가야금 산조 이수자가 되기도 하는 세상인데요. 초밥이 어색한 미국인들이 캘리포니아롤을 만들어 먹었고 그런 흐름속에 초밥은 그 들의 일상이 됐거든요. 결국 누가 만들던 문화의 뿌리는 한국문화고 사람들의 관심은 그 뿌리로 흘러듭니다.
우리는 항상 해외의 것을 소비했는데 이제는 해외에서 우리를 소비하고 있음 와라!!!문화강국!!
MOVE_HUMORBEST/1785248
역으로 일본이 한국문화를 이용해서 작품을 만들 만큼 깊이 연구했다는 뜻이니 그 나름의 의미가 있죠. 대한민국에서 한 때, 아니 지금도 일본 음악에 영향 받은 음악가들이 만든 노래를 사람들이 듣고 있으며, 일본 만화에 영향을 받은 작가들이 만든 웹툰을 사람들이 보고 있죠. 근데 지금은 일본이 대한민국 문화를 토대로 만든 작품을 전세계인이 보고 듣는다? 그게 어떤 의미일까요?
1. 한국이 2차창작?을 할 능력도 돈도 없어서 벌어진일이라 좀 아쉽구요 ㅎㅎ 2. 그럼에도 미국이 아닌 일본이 그런 작품을 먼저 만든것도 아쉽습니다. 세계적인 특히 미국 내의 한류를 일본의 자본으로 풀어낸다? 그걸 또 한국인 이 소비하는건 뭔가 아이러니죠 ㅎㅎ 3. 물론 소니엔터를 일본거라고 보는것도 편협한 시각인건 잘 알고 있습니다. 따지고 보면 90% 넘게 미국거라고 보는게 맞죠 감독도 한국계이구요 ㅎㅎ 하지만 그 10%가 저는 좀 찜찜한건 어쩔수가 없네요 ㅎㅎㅎ